왜 우주선들이 원통형으로 생겼는가?
주의: 이 게임에 등장하는 모든 우주선은 우주비행만 가능하다. 만약 대기권까지 비행 가능한 우주선이 있다면 전투기나 우주왕복선을 닮을 것이다.
*우주왕복선이 우주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인 발사체이듯이 대기권 비행체와 우주 비행체는 다른 모양이어야 효율적이다.
그럼 왜 우주선이 비대칭 원통형인가? 단면도로 여러 가지 구조들을 보자
로켓 방정식 때문에 우주선에서 무게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무게에 따라 갈 수 있는 목적지가 기하급수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것이 가벼워야 한다.
무엇이 우주선을 무겁게 하는가? 위의 우주선을 이루고 있는 모듈들의 무게를 보자
추진체를 제외하면, 장갑이 가잠 무겁다. 따라서 장갑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진 모양이 아닌 볼록한 모양이어야 한다.
장갑이 볼록한 모양이라면, 더 원시적인 도형의 모양이다. 원뿔, 원통, 구 등등.
가장 이상적인 모양은 가장 넓은 내부공간과 가장 적은 표면적을 가지는 구이다. 그러나 많은 문제가 있다.
일단 구는 전면 면적이 크다. 따라서 적의 공격(우주전쟁게임이므로)에 취약하다. 표면적이 적을수록 맟추기 쉽다는 건 누구나 안다. 구는 이런 점에서 탈락이다. 아주 쉽게 파괴될 수 있다.
또한 핵발전기는 아주 많은 열과 방사능을 내뿜는다. 승무원 구역은 핵발전기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고 잘 방호되어야 한다. 구는 이런 점을 고려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구 안에 장비들을 집어넣는 게 어렵다. 원통형이면 훨씬 쉬워진다. 그리고 육면체는 아주 쉽다. 구라면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이제 원통을 보자. 원통은 두번째로 큰 부피/면적비를 가진다. 원통을 아주 길게 만들면 전면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맞추기 어렵다. 또한 승무원들을 핵발전기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다. 공간은 조금 낭비하겠지만, 회전을 빠르게 할 수도 있다.
그럼 왜 비대칭인가? 경사장갑 때문이다. 같은 두께일 때 단순 수직 장갑보다 더 효율적이다.
Children of a Dead Earth는 극사실주의 SF게임이다 스팀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처: childrenofadeadearth.wordpress.com/2016/04/12/why-does-it-look-like-that-part-2/
'Space > 하드S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켓 연료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 2021.02.01 |
---|---|
로켓 엔진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 2021.01.30 |
우주선의 모양 -3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 2021.01.28 |
우주선의 모양 -1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 2021.01.27 |
우주선 연료 탱크(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 2021.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