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Physics/수리물리2

푸리에 해석 테일러 급수를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어떤 임의의 함수는 멱급수 형태로 전개할 수 있다. 그럼 반대로 생각해보자 어떤 임의의 주기함수는 사인함수의 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어떤 함수 f(x)12a0+a1cosx+a2cos2x+a3cos3x...+b1sinx+b2sin2x+b3sin3x... 이렇게 주기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식을 구하기 위해서는 한 주기에 대한 삼각함수의 평균값에 대해 알아야 한다. sinmxcosnx의 평균값은 12πππsinmxcosnxdx=0 sinmxsinnx의 평균값은 $.. 2021. 1. 29.
변분법 1학년때부터 가장 궁금해하던거라 여기다가 가장 먼저 적게 되었다. 출처는 Boas 수리물리학, Fowles 역학, 영어 위키피디아 정도이고 장작위키보다 쉽게 적는게 목표이다. 틀린 건 댓글로 부탁한다. +기본적인 미적분학은 아는 걸 전제로 쓴다. 해외여행을 가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비행기를 탈 때 지도상의 직선경로가 아닌 이상한 경로로 가는 경우가 있다. 국경 문제도 있겠지만, 그것이 최단거리이기 때문이다. 1.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유도 그럼 직선 y(x)에서 최단거리는 어떻게 구하는가? 다들 아주 잘 알다시피 이렇게 피타고라스법으로 구할 수 있다. 곡선은? 미분과 적분을 사용해보자 이제 평면에서의 최단거리는 쉽게 구할 수 있다. 위 식의 최솟값이 직선의 최단거리 방정식이다. 근데 곡선이나 그런 데서의.. 2021.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