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8

극단적 상황에서 샘플 채취하기 로제타 혜성탐사선은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가려고 지구를 3번 화성을 4번 플라이바이했는데 이런 방법으로 상대속도를 줄이는건 너무 시간낭비라서 우주선과의 상대속도가 0.1~1km/s정도일 때도 샘플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본 결과 위의 우주선이 나왔음 혜성에 미사일 모양 탐침을 꽂고 그걸 다시 낚아채는 방법임 오시리스-렉스 소행성탐사선도 지형때문에 샘플 채취에 문제가 있던 걸 생각하면 꽤 좋은 방법으로 보임 www.nasa.gov/spacetech/niac/2013phaseII_winglee.html 2021. 3. 18.
파이썬 궤도 시뮬레이션 -1 원궤도 www.youtube.com/channel/UCt2NJAAW0Ln0hBpArRF1rpg/videos Alfonso Gonzalez Astrodynamics with Python and the Space Engineering Podcast. Orbital Mechanics, Spacecraft Attitude Control, Numerical Methods Link to Space Engineering Podcast website on SimpleCast: https://space-engineering-podcast.simplecast.com/episodes Link to Space www.youtube.com 이곳에 나온 것들을 한 번 만들어보고자 한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 2021. 3. 15.
Cycler 우주 정거장 Cycler는 특정 행성들을 왕복하는 우주 정거장임. 행성 또는 위성들을 플라이바이하며 속력을 얻거나 잃으면서 천체들을 플라이바이함 아폴로 11호의 버즈 올드린이 가장 먼저 제시한 거라서 올드린 사이클이라고도 함 지구 궤도에서 사이클러 궤도까지 간 다음 사이클러에 도킹하고 화성 근처에 오면 사이클러에서 분리해서 에어로브레이킹 하면 되고 화성에서 지구로 올 때도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됨. 우주에서는 크기가 클수록 더 크고 많은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고, 예비 부품도 탑재할 수 있음. 예를 들어보자면 방사선 차폐막을 더 두껍게 해서 승무원들을 보호하거나 발전기 고장에 대비해서 여러 개의 발전기를 탑재하거나 할 수 있음. 참조: 우주선의 크기 -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우.. 2021. 3. 12.
여러 가지 궤도들 -2 Low energy transfer Low Energy Transfer는 지구-달 시스템에서 태양의 힘을 잘 이용해서 더 적은 에너지/추력으로 달에 갈 수 있게 하는 방법임 지구-태양 시스템의 L2 라그랑주점에서는 지구의 중력과 태양의 중력이 비슷해서 작은 힘으로도 큰 궤도 변화를 만들 수 있음 보다시피 3300m/s정도만으로도 충분히 궤도를 형성할 수 있음(일반적인 호만 전이 궤도로는 3500m/s) L2 라그랑주점에서 달로 끌려들어가는 궤도를 만들면 됨 한국형 달 탐사선이 이 궤도를 이용하는데 장점은 dV도 적게 들지만, 이온엔진같은 약한 추력의 엔진으로도 달 궤도 진입이 가능하다는거임, 일반적인 호만 전이 궤도에서는 한번에 400m/s정도의 델타 V를 2~5분 정도의 시간동안 소모해야 하지만, 이 궤도를 사용하면 더 적은 양의 델타 .. 2021. 3. 9.
여러 가지 궤도들 -1 1. 지구 저궤도(LEO) 고도 100~2000km 정도의 궤도들 지구 바로 위를 도는 궤도라서 가장 가기 쉬운 궤도임 2. 정지궤도, 정지궤도 천이 궤도(GEO, GTO) 정지 궤도는 지표면에 대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궤도라서 정지 궤도임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기상 위성(날씨 감시에 적합함), 통신 위성(한 자리에서 계속 통신할 수 있게 해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됨 적도면을 따라 움직이는 궤도이기 때문에 일단 저궤도에서 정지 궤도의 고도(36000km)까지 가는 천이 궤도를 만들어주는데 이걸 정지 천이 궤도(GTO)라 하고(소모 delta V : 2450m/s) 궤도의 저점 고도를 고점 고도와 똑같이 맞춰 주고, 궤도경사각도 맞춰 주면 됨(적도 근처에서 쏜 경우 궤도경사각 수정을 안.. 2021. 3. 5.
N체 시뮬레이션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point.h" typedef point Vector; typedef std::vector container; typedef std::vector mass; constexpr double G_const = 6.67430e-11; struct position { const mass &masses; position(const mass &masses) : masses(masses) { } void operator()(const container &p, container &dqdt) const { for (int l = 0; l < p.size(); ++l) { dqdt[l] = p[l] / mas.. 2021. 3. 4.
스타쉽 테스트 성공 https://youtu.be/ODY6JWzS8WU착륙 8분 후 폭발했고 원인은 착륙 시 엔진이나 탱크 손상 때문인 것 같다 거의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2021. 3. 4.
로켓랩 대형 로켓 개발 이름은 뉴트론(중성자)저궤도 페이로드 8톤, 인간 탑승 가능, 2024년 발사예정 2021. 3. 1.
화성 유인 탐사 계획 -화학 로켓 1. Project Troy Project Troy는 Skylon의 개발사인 Reaction Engines에서 연구한 유인 화성 탐사 계획임 스카이론이 성공적으로 개발된다는 것을 전제로 연구한 것이다. 그런 미래가 오려면 아직 한참 남은것 같음 *스카이론: 화물용 우주선과 사람이 탑승하는 우주선 두종류가 있고, 액체수소-액체산소 추진 방식임 지구 출발시 질량은 780톤, 화물선은 130톤을 화성까지 운반함 2. Aurora CDF ESA에서 연구한 화성 유인 탐사선임 총 질량 1350톤, 액체수소-액체산소 추진 방식 사용, 첫 3단은 아리안 5에 쓰이는 벌케인 2엔진을 사용하고 화성 궤도 진입단과 지구 복귀단은 프로톤 로켓에 사용하는 RD-0212엔진(연료: UDMH, NTO)을 사용함 열핵로켓을 사용하.. 2021.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