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엔진이 우주선과 같이 회전하는 유형
엔진의 추력 조절로 천천히 회전해서 밯향을 바꿀 수 있음.
장점:
원자로 반대편에 거주시설이 있어서 중성자 방호가 잘 됨.
움직이는 부분이 없어서 안전함. 메가와트급 전력이나 유체가 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음.
원자로에 인공 중력을 줄 수 있어서 원자로를 중력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음. ex) 원자로 제어봉을 중력으로 떨어뜨리기만 해도 작동 정지 가능함.
단점:
우주선 제어가 힘듬. 방향 회전 시 세차운동이 일어나서 우주선이 롤링함
http://www.artificial-gravity.com/NASA-JSC-EX-02-50.pdf
라디에이터가 중력 환경에서 작동해야 함. ex) 라디에이터가 더 강하게 만들어져야 함.
승무원이 출입하거나 도킹하기 힘듬(인터스텔라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것처럼)
2. 이온 추력기만 회전 안하는 유형
장점:
원자로와 승무원 구역을 멀리 떨어뜨릴 수 있음.
추력 조절만으로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별도의 롤링이 발생하지 않음.
중력이 있는 환경에서 발전기를 돌릴 수 있음.
단점:
메가와트급 전력과 수 킬로그램의 연료를 몇 달 동안 운반해야 함.
움직이는 부분이 고장나면 제어가 불가능함.
라디에이터가 중력 환경에서 작동해야 함.
승무원 출입, 도킹이 힘듬.
3. 거주 구역만 회전하는 유형.
장점:
별도의 롤링이 발생하지 않음.
승무원 출입, 도킹이 쉬움.
라디에이터가 무중력 환경에서 작동함.
단점:
비효율적인 거주공간 배치(굳이 2개로 나눌 필요가 없어도 나눠야 함)
두 거주 공간 사이를 오가기 힘듬.
회전 장치가 신뢰성 있어야 함.
무중력 환경에서 원자로가 작동해야 함.
킬로와트급 전력을 거주구에 전달해야 함.
http://www.artificial-gravity.com/NASA-JSC-EX-02-50.pdf
'Space > 하드S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저를 이용한 궤도 로켓 (0) | 2021.10.31 |
---|---|
열핵-전기 로켓 (0) | 2021.10.09 |
우주 쓰레기 추진 로켓 (0) | 2021.09.20 |
우주에서의 입자빔 part2 (0) | 2021.09.18 |
오리온 우주선 지표면에서 안전?하게 발사하기 (0) | 2021.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