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ace/하드SF

우주 엘리베이터 HASTOL

by hydrogendeuteride 2021. 2. 23.

HASTOL(Hypersonic Airplane SpaceTether Orbital Launch System)은 실제로 고안된 우주 엘리베이터 프로토타입 중 하나이다.

HASTOL의 개념도, 우주비행기로 우주 엘리베이터에 접근하고, 궤도를 돌면서 우주 엘리베이터도 회전한다.

 

우주비행기 개념도

지상에서 X-43처럼 생긴 270톤짜리 우주비행기가 터보램제트로 마하 4.5까지 속도를 내면 뒤에 있는 로켓 엔진이 점화되서 비행기를 3.6km/s까지 가속한다. 그러면 우주 엘리베이터의 끝부분이 우주비행기의 페이로드(14톤)와 결합하여 페이로드를 우주로 던진다. 페이로드는 대략 2.5g의 가속력을 받는다.

 

우주 엘리베이터의 줄 모양

우주 엘리베이터의 줄은 spectra 2000이나 케블라 등으로 되어 있어서 공기 마찰로 생기는 높은 열이나 인장력 등을 잘 버틸 수 있다. 줄의 무게는 530톤, 우주 정거장의 무게는 1650톤이고 전체 무게는 2180톤이다. 길이는 600km이고 80~150km정도에서 우주비행기와 만난다.

 

페이로드 결합 시스템
우주정거장

569X442km의 궤도를 돌고, 이온 엔진이나 지구 자기장 등으로 공기와의 마찰이나 물체를 궤도에 올리면서 잃어버리는 회전 에너지를 보충한다. (타원 궤도의 최고점에서는 최저점보다 더 천천히 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위 사진처럼 지구로 돌아오는 우주선을 잡아서 회전 에너지를 보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우주선은 재진입 시 더 낮은 중력 가속도를 받게 되어 더 안전하다.

 

우주선을 더 먼 궤도(정지궤도나 달궤도나 타 행성 천이 궤도)로 보낼 수도 있다.

 

현대 기술로 대부분 가능하고, 기존 로켓들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우주에 갈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스타쉽으로 대략 20~30번이면 모든 구조물을 쏘아올릴 수 있다.

 

만들어진다면 우주 발사 비용을 줄여주겠지만, 아직 검증되지 않은 기술이 많이 있어서 실제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알 수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로켓을 사용하지 않는 발사 방식들 중에서는 가장 저렴하다. 다른 행성이나 위성에서는 지구보다 더 효율적인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www.niac.usra.edu/files/studies/final_report/355Bogar.pdf

www.niac.usra.edu/files/studies/final_report/391Grant.pdf

 

글 쓸만한 주제가 없어서 다들 아는 내용을 가져왔다. 한때는 나만의 작은 아이디어였던 게 쿠르트게작스에 나온 이후 유명해져서 아쉽다(?).

'Space > 하드S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열핵 로켓  (0) 2021.02.28
얼음 우주선  (2) 2021.02.25
원자로  (1) 2021.02.19
레이저  (0) 2021.02.17
우주선의 크기 - (Children of a Dead Earth 번역글)  (0) 2021.02.14

댓글